난소난관염 (Oophoritis, Ovaritis)

1. 정의

난소난관염은 난관이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염증이 난소에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개는 난관염이나 주위의 골반 내 염증과 함께 나타난다. 난관염이 난소 주위의 복막염으로 퍼지거나, 난소 자체에 염증이 생겨 난관 농양 또는 난소 농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질환특징
난소난관염난관과 난소에 세균 감염으로 인한 염증 발생
난소 복막염난소 주위 복막으로 염증이 확산된 상태
난소-난관 농양난소와 난관에 염증이 심해져 농양이 형성된 상태

2. 원인

난소난관염의 주된 원인은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임질균, 마이코플라즈마,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과 같은 세균이 질이나 자궁경부에 감염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균들은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이 자궁에서 난관과 난소로 퍼져 염증을 유발한다.

3. 증상

난소난관염의 증상은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임질균과 클라미디아에 의한 자궁경부염의 경우, 절반 이상이 무증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난소난관염으로 발전하면 복통, 성교통, 발열, 구토,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불규칙한 질 출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치료가 늦어지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증상설명
복통난관과 난소 부위에 심한 통증
성교통성교 중 또는 후에 느껴지는 통증
비정상적 질 분비물평소와 다른 색, 냄새, 양의 질 분비물
불규칙한 질 출혈주기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질 출혈

4. 진단

난소난관염의 진단은 혈액 검사와 자궁경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와 적혈구 침강 속도의 상승이 확인되며, 자궁경 검사를 통해 경관 분비물을 분석하여 감염 여부를 파악한다.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초음파나 CT 스캔을 통해 염증의 범위와 농양 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5. 치료

난소난관염 치료의 첫 단계는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염증을 빠르게 완화시키기 위해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성 파트너도 함께 치료해야 한다. 염증이 심해 농양이 형성된 경우, 농양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빠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면 난소난관염의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6. 경과

난소난관염의 치료가 늦어지거나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난관-난소 농양, 골반 복막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자궁 외 임신이나 불임과 같은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합병증결과
난관-난소 농양난관과 난소에 농양이 생겨 염증이 악화된 상태
골반 복막염골반 내에 염증이 퍼져 복막에 염증을 일으킨 상태
자궁 외 임신염증으로 인해 수정란이 자궁 외부에 착상된 상태

7. 주의사항

난소난관염이 완치될 때까지 성교를 삼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성 파트너 역시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필요시 함께 치료받는 것이 좋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