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카자키균 감염증(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
1. 정의
사카자키균 감염증은 대장균 군에 속하는 장내 세균인 사카자키균(현재 명칭: 크로노박터)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균은 인간과 동물의 내장, 주변 환경에서 흔히 발견된다. 성인은 감염되어도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거나 없으나, 신생아 및 6개월 미만의 영유아가 감염되면 심각한 뇌수막염, 장염, 패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사카자키균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드물지만, 감염된 영유아의 20~50%가 사망한다고 보고되었다. 생존하더라도 신경계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크다.
특징 | 내용 |
---|---|
원인균 | 크로노박터(구 사카자키균) |
주요 감염 대상 | 신생아, 영유아, 면역저하자 |
주요 증상 | 뇌수막염, 장염, 패혈증 |
치사율(영유아) | 20~50% |
2. 원인
사카자키균은 사람, 동물의 장내와 자연환경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일반 식품 및 건조식품에서도 검출된다. 특히 분유, 이유식, 치즈, 야채 등 영유아가 섭취하는 식품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감염은 세균이 포함된 음식을 섭취하거나, 세균이 묻어 있는 도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감염 경로
- 오염된 식품: 분유, 이유식, 치즈, 채소
- 오염된 도구: 젖병, 유축기, 스푼 등 위생 관리 부족
- 환경적 요인: 비위생적인 조리 환경
감염 경로 | 주요 사례 |
---|---|
오염된 식품 | 분유, 이유식, 치즈, 채소 |
오염된 도구 | 젖병, 유축기, 스푼 등 위생 관리 부족 |
자연환경 | 물, 흙, 동물의 배설물 |
3. 증상
사카자키균은 건강한 성인에게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신생아, 영유아, 면역저하자에게는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감염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며, 발열, 경련, 의식 저하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주요 증상
- 발열: 체온 상승
- 보챔: 영유아의 지속적인 보챔
- 의식 저하: 중증 감염 시 발생
- 경련: 신경계 감염의 주요 징후
감염 부위 | 증상 |
---|---|
신경계(뇌수막염) | 경련, 의식 저하 |
소화기(장염) | 설사, 복통 |
전신(패혈증) | 발열, 맥박 증가, 혈압 저하 |
4. 진단
사카자키균 감염은 대변, 혈액, 뇌척수액 등의 검체에서 균을 검출하여 진단한다. 특히, 분유가 감염원으로 의심될 경우 분유를 배양하여 균의 존재를 확인한다.
진단 과정
- 검체 채취: 대변, 혈액, 뇌척수액 등
- 균 검출: 배양 검사 및 세균 확인
- 분유 검사: 100g 분유를 배양하여 균 존재 여부 확인
진단 방법 | 설명 |
---|---|
검체 채취 | 감염 부위의 체액 및 조직 채취 |
세균 배양 | 검체 또는 분유에서 균 확인 |
감염원 추적 | 감염 경로를 파악해 추가 전파 방지 |
5. 치료
사카자키균 감염은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며, 감염 부위와 증상에 따라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감염이 심각한 경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치료를 시행한다.
주요 치료 방법
- 항생제 사용: 균에 따라 적합한 항생제 처방
- 증상 관리: 열, 경련, 의식 저하 등을 조절
- 수액 치료: 탈수를 예방
치료 방법 | 주요 내용 |
---|---|
항생제 치료 | 감염된 균에 따라 항생제 처방 |
뇌압 조절 | 경련 및 의식 저하 증상 완화 |
수액 치료 | 장염으로 인한 탈수 방지 |
6. 경과
사카자키균 감염증은 발병 빈도가 낮지만, 신생아 및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이다. 특히, 뇌수막염이 발생하면 약 20~50%의 치사율을 보이며, 생존한 경우에도 신경계에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주요 합병증
- 뇌수막염
- 패혈증
- 괴사성 장관염
7. 예방 및 주의사항
사카자키균은 열에 취약하여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대부분 사멸한다. 분유 조제 및 이유식 준비 시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예방 수칙
- 고온 조리: 분유 조제 시 70℃ 이상의 물 사용
- 남은 분유 폐기: 한 번 조제한 분유는 재사용 금지
- 위생 관리: 젖병, 스푼, 유축기 등을 철저히 세척 및 살균
예방 방법 | 설명 |
---|---|
고온 처리 | 분유는 70℃ 이상의 물로 조제 |
도구 위생 관리 | 젖병, 스푼, 유축기를 깨끗이 소독 |
남은 분유 관리 | 먹고 남은 분유는 즉시 폐기 |
사카자키균 감염증은 드물지만 영유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