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샅(서혜)육아종(Granuloma inguinale)
1. 정의
샅(서혜)육아종은 칼리마토박테리움 글라눌로마티스(Calymmatobacterium granulomatis)라는 병원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만성적인 궤양성 성병이다. 단추 모양의 구진, 수포, 결절, 궤양, 육아종성 병변이 나타나며, 통증이 없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많이 발병하며, 드물지만 태아에게 감염되면 유산이나 태아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출생 시 산도를 통해 태아에게 감염되기도 한다.
구분 | 내용 |
---|---|
질환명 | 샅(서혜)육아종 (Granuloma inguinale) |
원인균 | Calymmatobacterium granulomatis |
주요 증상 | 붉은 구진, 수포, 결절, 궤양, 악취 나는 분비물 |
발생 부위 | 서혜부, 생식기, 항문 주변 |
감염 경로 | 성 접촉, 태아 감염 가능 |
치료 방법 | 항생제 치료 |
2. 원인
샅(서혜)육아종의 원인균은 칼리마토박테리움 글라눌로마티스로, 주로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감염이 진행되면 조직에 만성 염증을 유발하여 궤양성 병변을 형성한다.
3. 증상
샅(서혜)육아종의 잠복기는 평균 2~3주이다. 서혜부, 치골부, 생식기 및 항문 주위에 발생하며, 초기 증상으로 붉은색 단추 모양의 구진, 수포, 결절 등이 나타난다. 진행되면 궤양이 형성되고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동반될 수 있다. 감염 부위에서 주변으로 전파되기도 하며,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내부 장기, 눈, 입술, 후두 등으로 퍼질 수도 있다. 병변이 장기간 지속되면 림프관 폐쇄 및 림프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증상 단계 | 특징 |
초기 | 붉은색 구진, 수포, 결절 형성 |
진행 | 궤양 형성, 악취 나는 분비물 발생 |
심화 | 주변 조직으로 확산, 림프관 폐쇄 및 부종 |
합병증 | 내부 장기 전파 가능 |
4. 진단
샅(서혜)육아종이 의심되는 경우, 증상 및 검진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현미경 검사를 통해 병원균이 포함된 도노반체(Donovan body)를 확인하면 확진이 가능하다.
진단 방법 | 설명 |
현미경 검사 | 도노반체(Donovan body) 확인 |
조직 검사 | 병변 조직에서 염증 반응 관찰 |
배양 검사 | C. granulomatis 배양 |
PCR 검사 | 병원균의 유전자 검사 |
5. 치료
샅(서혜)육아종은 항생제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겐타마이신 등의 항생제를 투여한다. 치료 기간은 최소 3주 이상이며, 병변이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치료를 지속해야 한다.
항생제 종류 | 용법 |
독시사이클린 | 100mg, 하루 2회, 최소 3주 |
테트라사이클린 | 500mg, 하루 4회, 최소 3주 |
에리스로마이신 | 500mg, 하루 4회, 최소 3주 |
겐타마이신 | 1mg/kg, 하루 3회, 심한 경우 병용 |
6. 예방
샅(서혜)육아종은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되므로, 예방을 위해 안전한 성생활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빠른 진단과 치료를 통해 전파를 방지해야 한다.
- 안전한 성생활 실천 (콘돔 사용)
- 성병 검진 정기적으로 받기
- 감염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 피하기
- 위생 관리 철저히 하기
샅(서혜)육아종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적인 궤양과 림프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