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셀라증(Brucellosis)

브루셀라증(Brucellosis) 1. 정의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균에 감염된 동물로부터 사람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인수 공통 감염증이다. 이 질병은 주로 동물을 다루는 특정 직업군에서 발생하는 직업병의 일종으로,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브루셀라증을 법정감염병 제3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소 브루셀라증은 가축 전염병 제2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소 브루셀라증 사례가 증가하면서 사람 브루셀라증 발생도 늘어나고 있다. 구분 … Read more

보툴리눔독소증 (Botulism)

보툴리눔독소증 (Botulism) 1. 정의 보툴리눔독소증은 보툴리눔균(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세균이 생산하는 신경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마비성 질환이다. 보툴리눔균의 독소는 특히 강력한 신경 마비 작용을 가지며, 병원균 자체가 아니라 균이 생산한 독소가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다른 병원체와 다르다. 보툴리눔균은 주로 농경지 및 가축 축사 부근의 토양에서 발견되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나 과일을 섭취할 때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 Read more

병원 감염성 폐렴 (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

병원 감염성 폐렴 (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 1. 정의 🏥 병원 감염성 폐렴(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은 입원 후 병원 환경에서 감염된 병원성 미생물로 인해 발생한 폐렴을 의미한다. 이는 입원 당시에는 감염되지 않았던 환자가 입원한 지 48시간 이상 지난 후 발생하는 폐렴으로, 호흡기 보조 장치나 특정 약물 사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내인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 Read more

베게너 육아종증(Wegener Granulomatosis)

베게너 육아종증(Wegener Granulomatosis) 1. 정의 🌡️ 베게너 육아종증은 코, 목, 폐, 신장 등의 혈관에 염증이 발생하여 조직이 손상되는 전신성 혈관염이다. 이 질환은 전신에 있는 소동맥과 정맥을 침범하며, 특히 신장에 사구체 신염이 동반되는 특징이 있다. 신장 질환이 합병된 경우, 몇 달 내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희귀 질환이다. 이 병은 1936년에 처음으로 보고한 독일 의사 베게너의 이름을 … Read more

백일해(Pertussis)

백일해(Pertussis) 1. 정의 🦠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백일해는 여름과 가을에 발생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가족 내에서 쉽게 전염되어 2차 발병률이 80%에 이른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 1세 미만의 영아가 가장 큰 위험군에 속한다. 현재 예방접종이 널리 시행되면서 백일해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으나, 여전히 소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병이다. 2. … Read more

방선균증(Actinomycosis)

방선균증(Actinomycosis) 1. 정의 🦠 방선균증은 우리 구강이나 장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방선균이 몸의 특정 부위를 벗어나 감염을 일으키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방선균은 세균이지만, 그 생김새는 진균(곰팡이)과 유사한 모습을 띠고 있다. 방선균증은 흔히 만성적인 감염 형태로 진행되며,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원인 🔍 방선균증은 입 안에 상처가 생기거나 치과 치료 후 감염될 경우 발생할 … Read more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1. 정의 🌡️ 발진티푸스는 리케차 프로와제키(Rickettsia prowazekii)라는 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주로 전쟁, 기근, 재난 상황 등 위생이 나쁜 환경에서 불결하고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 있을 때 발생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발병 사례가 없지만, 열대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등 일부 지역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2. 원인 🦠 발진티푸스는 발진티푸스 환자의 혈액을 흡혈한 … Read more

발진열(Murine Typhus)

발진열(Murine Typhus) 1. 정의 🌡️ 발진열이란 리케차 타이피(Rickettsia typhi)라는 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염병을 의미한다. 발진티푸스와 유사한 임상 증세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발진열은 증세가 가벼운 편이며 사망률이 매우 낮다. 주로 가을철에 농촌 지역이나 곡물 창고처럼 쥐가 많이 서식하는 장소에서 발생한다. 발진열의 주요 매개체인 쥐벼룩을 통해 전염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쥐와 쥐벼룩 관리가 중요하다. 2. 원인 … Read mo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1. 정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노란색을 띠는 둥근 공 모양의 세균으로, 마치 포도송이처럼 뭉쳐져 있는 모습 때문에 ‘포도상 구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이 균은 대기 중, 물, 피부 등 다양한 환경에 흔히 존재하며, 건강한 사람의 약 20%가 비강, 인후두, 피부, 머리카락 등에 황색포도알균을 가지고 있다. 대개 건강한 사람에게는 특별한 … Read more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1. 정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은 광범위 항생제인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을 의미한다. 장알균(Enterococcus)은 장내에 상주하는 균으로, 동그란 형태를 가진다. 이 균은 주로 위장관과 비뇨생식기계에 존재하며, 건강한 사람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노인, 면역 저하자, 만성 질환자,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등에게는 요로 감염, 창상 감염, 균혈증, … Read more